도서 자바스크립트로 하는 자료 구조와 알고리즘을 읽으며 정리하는 글 시리즈.
빅오 표기법은 알고리즘 실행에 있어 가장 최악의 경우인 복잡도를 측정한다.
O(n)
에서 "n"은 입력의 개수를 나타낸다.
O(1)은 입력의 개수와 무관하다. 따라서 상수 시간이라고 부른다.
const arr = ['apple', 'banana'];
console.log(arr[0]);
배열의 인덱스, 객체의 key 등으로 접근하는 경우가 O(1) 알고리즘의 예시가 될 수 있다.
O(n)은 일차시간이다. 입력 개수와 동일하게 실행된다.
O(n²)은 이차시간이다. 입력의 개수의 제곱으로 실행된다.
function foo(n) {
for(let i = 0; i < n; i++) {
for(let j = 0; j < n; j++) {
console.log(i, j);
}
}
}
// n이 3일 때, n의 제곱만큼 반복. (3 * 3)
// 0 0
// 0 1
// 0 2
// 1 0
// 1 1
// 1 2
// 2 0
// 2 1
// 2 2
마찬가지로 O(n³)은 삼차시간이다. 입력 개수의 세제곱으로 실행된다.
로그 시간 복잡도를 나타낸다.
function foo(n) {
for(let i = 1; i < n; i = i*2) {
console.log(i)
}
}
예시는 2의 제곱부터 n제곱 까지의 항목을 출력한다.
위 경우에는 2의 제곱 값들을 입력하면 2의 n제곱 만큼 출력된다. (2의 제곱 사이에 있는 값을 입력하면 당연하게도 float 값 결과가 나온다.)
로그 시간 복잡도는 입력 값이 커질 수록 효율이 증가한다.
알고리즘 분석의 목표는 복잡도를 계산해 효율성을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계산할 때의 유용한 규칙이 있다.
상수를 제거한다. 입력 크기와 연관되지 않는 상수를 무시한다.
O(n)과 O(2n)은 n이 무한대로 향해 갈수록 별 차이가 없다. 임의의 상수 k가 붙는 경우도 마찬가지다. O(n)과 O(n + k)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본다.
따라서 모두 O(n)으로 표기할 수 있다.
O(n)과 O(n)을 더하면 O(2n)이 된다. 하지만 이는 계수법칙에 의해 O(n)으로 귀결된다.
O(n)과 O(n)을 곱해보자. n * n
은 n의 제곱이 된다. 따라서 O(n²)이다.
O(2n)과 O(n)인 경우도, O(2n²)이지만 계수법칙에 의해 O(n²)으로 나타낸다.
다항 법칙은 다항 시간 복잡도가 동일한 다항 차수를 지닌 빅오 표기법을 지님을 나타낸다.
이게 무슨 의미냐면, k차 반복되면 O(n^k) 가 된다는 것이다.
function foo(k) {
let count = 0;
for(let i = 0; i < k * k; i++) {
count += 1;
}
return count;
}
위의 예는 k차번 반복된다. k * k 이기 때문에 입력 값의 제곱수를 반환한다. 따라서 O(n²)이다.
function foo(k) {
let count = 0;
for(let i = 0; i < k * k * k; i++) {
count += 1;
}
return count;
}
위의 예는 k * k * k 로 세제곱이다. O(n³)으로 나타낸다.